[ 프로그래머스 / Kotlin ]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문제 설명 해결 과정 우선 lottos에서 0의 갯수를 세서 저장해 둔 후 lottos와 win_nums에서 일치하는 수의 갯수를 구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for문을 통해서 일치하는 갯수를 구하고(num) count를 통해 0의 갯수를 구한다음(zero) i ) zero가 다 맞았을 경우 num+zero 2 4 -> 3 3 -> 4 2 -> 5 else -> 6 } return result } } Android/Algorithm 2024.04.12
[ 프로그래머스 / Kotlin ] 기사 단원의 무기 문제 설명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이 2라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무기점에서 공격력이 2인 무.. Android/Algorithm 2024.04.12
[ Android / kotlin ] fragment 다루기 1. BottomNavigation 생성 후 Fragment 연결 2. Fragment 상태 유지 3. Fragment 에 RecyclerView 연결 4. viewModel로 데이터 전달 1. BottomNavigation 생성 후 Fragment 연결 - activity_main.xml Fragment를 보여 줄 FrameLayout과 Fragment 전환을 위한 BottomNavigation menu는 res/menu 에 작성 - bottom_menu.xml - MainActivity.kt private lateinit var binding:ActivityMainBinding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 Android/Project 2024.04.12
[개념 정리] Fragment 데이터 전달 방식 ViewModel을 사용하여 데이터 공유 ViewModel은 여러 프래그먼트 간에 또는 프래그먼트와 호스트 활동 간에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때 적합하다. ViewModel 객체는 UI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 호스트 활동과 데이터 공유 때에 따라 프래그먼트와 호스트 활동 간에 데이터를 공유해야할 수 있다. class ItemViewModel : ViewModel() { private val mutableSelectedItem = MutableLiveData() val selectedItem: LiveData get() = mutableSelectedItem fun selectItem(item: Item) { mutableSelectedItem.value = item } } 이 예에서 저장된 데이터.. Android 2024.04.01
[개념 정리] Fragment LifeCycle Fragment LifeCycle 각 Fragment 인스턴스에는 고유한 수명 주기가 있다. 사용자가 앱을 탐색하거나 앱의 상호작용할 때 프래그먼트는 화면에서 추가 또는 삭제되거나 화면에 들어가고 나오면서 수명 주기의 여러 상태 간에 전환하게 된다. 수명주기를 관리하기 위해 Fragment는 LifecycleOwner를 구현하여, getLifecycle() 메서드를 통해 액서스를 할 수 있는 Lifecycle 객체를 노출한다. 가능한 각 Lifecycle 상태는 Lifecycle.State 열거형으로 표시된다 - INITIALIZED - CREATED - STARTED - RESUMED - DESTROYED Lifecycle 위에 Fragment를 빌드하면 수명 주기 인식 구성요소로 수명 주기 처리에 사.. Android 2024.04.01
[개념 정리] Activity Stack Task and the back stack 작업은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하려 할 때 상호작용하는 활동의 모음이다. 이러한 활동은 백스택이라는 스택에 각 활동이 열리슨 순서로 적용된다. 작업의 수명 주기 및 작업의 백 스택 기기의 메인 화면이 대다수 작업의 시작 지점이다. 사용자가 앱 런처나 홈 화면에서 앱 또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터치하면 앱의 작업이 포그라운드로 전환된다. 앱에 관한 작업이 없으면 새 적업이 생성되고 앱의 기본 활동이 스택 루트 활동으로 열린다. 현재 활동이 다른 활동을 시작하면 새 활동이 스택 맨 위에 푸시되고 포커스를 갖는다. 이전 활동은 스택에 남아 있지만 중지된다. 활동이 중지되면 시스템은 활동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뒤로 작업을 실행하면 현재 활동이.. Android 2024.04.01
[개념 정리] Activity LifeCycle Activity LifeCycle 사용자가 앱을 탐색하고, 앱에서 나가고 돌아가는 활동을 하면 앱의 Activity 인스턴스는 수명 주기 안에서 서로 다른 상태를 통해 전환된다. Activity 클래스는 상태가 변경되거나 시스템이 활동을 생성, 중지 또는 재개, 삭제할 때 이를 활동에 알리는 여러 콜백을 제공한다. 각 콜백을 사용하면 지정된 상태 변경에 적합한 특정 작업이 실행 가능하다. 적시에 알맞은 작업을 수행하고 적절하게 전환을 처리해 앱을 더욱 안정적으로 기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앱 사용중 전화를 받거나 다른 앱을 실행했을 때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활동 수명주기의 단계 간 전환을 탐색하기 위해 Activity 클래스는 6가지 콜백을 제공한다. onCreate(), onStar.. Android 2024.04.01
[프로그래머스 / Kotlin] 명예의 전당(1) [프로그래머스 / Kotlin] 명예의 전당(1) 문제 설명 명예의 전당"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는 매일 1명의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수로 가수에게 점수를 부여합니다. 매일 출연한 가수의 점수가 지금까지 출연 가수들의 점수 중 상위 k번째 이내이면 해당 가수의 점수를 명예의 전당이라는 목록에 올려 기념합니다. 즉 프로그램 시작 이후 초기에 k일까지는 모든 출연 가수의 점수가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됩니다. k일 다음부터는 출연 가수의 점수가 기존의 명예의 전당 목록의 k번째 순위의 가수 점수보다 더 높으면, 출연 가수의 점수가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되고 기존의 k번째 순위의 점수는 명예의 전당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매일 "명예의 전당"의 최하위 점수를 발표합니다. 예.. Android/Algorithm 2024.03.26
[프로그래머스 / Kotlin] 2016년 [프로그래머스 / Kotlin] 2016년 문제 설명 2016년 1월 1일은 금요일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무슨 요일일까요? 두 수 a ,b를 입력받아 2016년 a월 b일이 무슨 요일인지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요일의 이름은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각각 SUN,MON,TUE,WED,THU,FRI,SAT 입니다. 예를 들어 a=5, b=24라면 5월 24일은 화요일이므로 문자열 "TUE"를 반환하세요. 제한 조건 2016년은 윤년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실제로 있는 날입니다. (13월 26일이나 2월 45일같은 날짜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해결 과정 매달 존재하는 일수와 요일을 저장한 배열을 두개 만들고 입력받은 날이 몇일인지를 계산한 후 7로 나누어 해당 일이 무슨 요.. Android/Algorithm 2024.03.26
[프로그래머스 / Kotlin] 푸드 파이트 대회 [프로그래머스 / Kotlin] 푸드 파이트 대회 문제 설명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 Android/Algorithm 2024.03.25